시험정보

손해사정사란
보험사고로 인하여 생긴 손채액을 평가사정하여 그 손해액을 결정하고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전문인
손해사정사의 업무(보험업법 제 188조)
- 1손해발생 사실의 확인
- 2보험약관 및 관계법규 적용의 적정여부 판단
- 3손해액 및 보험금의 사정
- 4손해사정업무와 관련한 서류의 작성.제출의 대행
- 5손해사정업무의 수행과 관련한 보험회사에 대한 의견의 진술
손해사정사의 구분
업무영역- 1재물손해사정사: 보험사고로 인한 재물과 관련된 재산상의 손해액 사정
- 2차향손해사정사: 자동차 사고로 인한 차량 및 그 밖의 재산상의 손해액 사정
- 3신체손해사정사: 자동차 사고 및 그 밖의 보험사고로 인한 사람의 신체와 관련된 손해액 사정
- 1고용손해사정사: 보험회사에 고용되어 손해사정 업무 수행
- 2독립손해사정사: 독립적으로 손해사정업을 영위하면서 업무 수행
고용전망
향후 10년간 손해사정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손해사정사정사회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약 5,200명의 손해사정사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 중 보험회사에 고용되어 손해사정업무를 소행하는 고용손해사정사가 2,900여 명이며, 보험회사로부터 위탁받아 손해사정업을 영위하는 위탁손해사정사가 약 1,500여 명, 독립적으로 손해사정업을 영위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독립 손해사정사가 800여명으로 약 20%를 차지한다. (자료: 한국고용정보원 발간물 - 2017 한국직업전망)
한국손해사정사정사회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약 5,200명의 손해사정사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 중 보험회사에 고용되어 손해사정업무를 소행하는 고용손해사정사가 2,900여 명이며, 보험회사로부터 위탁받아 손해사정업을 영위하는 위탁손해사정사가 약 1,500여 명, 독립적으로 손해사정업을 영위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독립 손해사정사가 800여명으로 약 20%를 차지한다. (자료: 한국고용정보원 발간물 - 2017 한국직업전망)
시행기관
보험개발원
응시자격
학력, 성별, 연령, 경력, 국적 등의 제한이 없음
시험과목
구분 | 1차 시험 | ||
---|---|---|---|
재물 | 차량 | 신체 | |
시험과목 |
|
|
|
시험방법 | 선택형 객관식 4지선다형 | ||
비고 | 재물손해사정사의 제1차 시험과목 중 영어는 공인영어시험으로 대체 |
구분 | 2차 시험 | ||
---|---|---|---|
재물 | 차량 | 신체 | |
시험과목 |
|
|
|
시험방법 | 논문형(약술형 또는 주관식 풀이형) |
합격자결정
구분 | 제1차 시험 | 제2차 시험 | ||
---|---|---|---|---|
손해사정사 | 재물 | 매과목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를 합격자로 결정 | 매과목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를 합격자로 결정(단, 매과목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가 선발예정인원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매과목 40점 이상 득점한 자중 전과목 평균점수에 의한 고듣점자 순으로 선발예정인원 이내에서 합격자 결정) | 선발예정인원: 40명 |
차량 | 선발예정인원: 100명 | |||
신체 | 선발예정인원: 320명 |